반응형 리눅스 명령어4 리눅스 uname 명령어 옵션 시스템 정보, 커널 정보 확인하기 리눅스 uname 명령어 옵션 시스템 정보, 커널 정보 확인하기 리눅스 uname 명령어란? 리눅스 uname 이란? 리눅스 uname 명령어는 unix name의 줄임말로 유닉스 계열의 컴퓨터 운영체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하나로 운영체제의 대한 이름 또는 시스템 정보, 커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호출 명령어입니다. 리눅스 uname 명령어 사용법 $ uname [옵션]... uname [option].. 리눅스 uname 명령어는 특정 시스템 정보를 출력합니다. $ uname root@server # uname Linux uname의 옵션이 없으면 -s 옵션과 동일한 결과로 출력됩니다. 옵션이 없는 uname 명령어는 ssh로 접속한 서버에 어떠한 커널을 사용하는지(Linux, Unix 등.... 2022. 8. 12. 리눅스 - 사용자 프롬프트 환경 변경하기 .bashrc 파일 수정 리눅스 사용자 로그인 프롬프트 예쁘게 꾸미기 .bashrc 파일 수정 리눅스 사용자별 .bashrc 파일 이란?? 리눅스는 다중사용자 시스템으로 하나의 리눅스 환경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접속해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각 사용자마다 쉘 환경 등 각자 원하는 스타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아파트에 여러 가구가 들어가 산다고 가정하면 똑같은 아파트에 살지만 각자 집에 구조 및 환경이 다른 것처럼 사용자 홈에 있는 .bashrc파일을 수정하여 사용자 입맛에 맞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사용자 로그인 및 홈 디렉터리 리눅스 사용자 .bashrc 파일 리눅스 사용자 .bahsrc 파일 위치는 사용자가 리눅스에 로그인한 환경(사용자 홈 디렉터리)에 위치하게 됩니다. login.. 2022. 5. 17. [Linux] 리눅스 서버 기본 명령어 chmod 명령어 옵션 사용법 총정리 [Linux] 리눅스 서버 기본 명령어 chmod 명령어 옵션 사용법 총정리 ※ 목차 1. 리눅스 chmod 명령어란? 2. 리눅스 chmod 명령어 규칙 및 설명 3. 리눅스 chmod 명령어 옵션 4. 리눅스 chmod 명령어 옵션 사용법 1. 리눅스 chmod 명령어란? chmod의 명령어는 change와 mode의 앞글자를 조합한 명령어로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기본적으로 파일 및 디렉토리의 모드 비트를 변경하므로 모드의 종류와 사용법을 익혀야 됩니다. chmod 명령어는 아래에 그림과 같이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2. 리눅스 chmod 명령어 규칙 및 옵션 지정한 각 파일의 파일 모드 비트를 변경합니다. chmod 명령어는 심볼릭 링크의 직접적인 권한을 변.. 2022. 4. 22. [Linux] 리눅스 서버 기본 명령어 tail 명령어 옵션 사용법 총정리 [Linux] 리눅스 서버 기본 명령어 tail 명령어 옵션 사용법 총정리 ※ 목차 1. 리눅스 tail 명령어란??? 2.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 3. 리눅스 tail 명령어 옵션 4. 리눅스 tail 명령어 옵션 사용법 1. 리눅스 tail 명령어란??? tail은 우리말로 꼬리라는 뜻으로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 입니다.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출력하고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앞부분을 출력합니다. 보통 실시간으로 로그를 쌓이는 것을 볼때나 자주 사용하는 파일의 마지막 부분이 수정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며 파이프와 함께 자주 사용하기도 합니다. tail 명령어는 옵션 없이 사용하면 지정한 파일의 마지막 부분의 10줄을 기본으로 출력하게 됩니다. 지정한 파일이 1.. 2022. 4.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