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눅스 파일시스템3

리눅스 디스크 용량 늘리기 논리디스크 파티션 증설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데이터의 양이 많아져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디스크 용량에 데이터가 늘어나서 용량이 꽉 차게 됩니다. 따라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삭제하지 못한다면 디스크 용량을 증설해야 될 일이 생기는데 VMware 가상화 서버를 사용 중일 때 물리적 디스크와 논리적 디스크를 증설하여 디스크를 확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구성 1) 디스크 용량 증설 전 사전작업 2) 리눅스 VM 디스크 용량 증설 3) 리눅스 논리 디스크 증설 및 확장 4) 리눅스 디스크 용량 증설 확인 디스크 용량 증설 전 사전작업 리눅스를 사용하는 물리적인 서버에 직접 디스크를 연결하거나 리눅스 서버를 가상화 VM으로 운영 중이라면 VM에서 디스크 용량을 증설하는 방법들 중 아래 예시는 VM.. 2022. 10. 25.
리눅스 파티션 기초 - 리눅스 파티션에 대한 이해 리눅스 파티션 기초 - 리눅스 파티션에 대한 이해 ※ 목차 1) 리눅스 파티션이란? 2) 리눅스 파티션 종류 3) 리눅스 파티션 보기 4) 리눅스 파일 시스템 만들기 리눅스 파티션이란? 리눅스 파티션(Linux Partition) 리눅스 파티션(partition)이란? 디스크 공간의 분할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기억 공간을 별도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 번 디스크가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뉘면 다른 카테고리의 디렉터리와 파일들은 다른 파티션에 저장되게 됩니다. 파티션을 하는 이유 리눅스 파티션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디스크의 공간을 나누고 각 공간 사용이 다른 공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파티션을 나누는 다른 이유는 서로 다른 공간에 서로 다른 OS를 설.. 2022. 8. 6.
리눅스 파일 소유권 허가권 - 리눅스 파일시스템 기초 리눅스 파일 소유권 허가권 - 리눅스 파일시스템 기초 ※ 목차 1) 리눅스 파일시스템 파일 유형 2) 리눅스 파일 소유자와 그룹 3) 리눅스 파일의 허가권 4) 리눅스 파일의 허가권을 지정하는 8진수 값 5) 리눅스 파일 허가권 8진수 예시 6) 리눅스 특수권한 chown 명령어, chmod 명령어 참고내용 리눅스(linux)의 파일이란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하며 정규파일(regular file), 디렉토리, 특수파일 등이 존재합니다. 정규파일(regular file)이란 텍스트 파일, 바이너리 파일을 의미하고 특수파일 장치 파일(device file), 파이프 파일 등을 의미합니다. 파일 및 디렉토리가 생성되면 소유자와 그룹을 부여받고 파일을 생성한 사람의 uid와 gid로 생성되게 됩니다. 위 사진은 .. 2022. 7.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