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기본명령어5 리눅스 script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 실시간 터미널 로그 남기기 리눅스 script 명령어란? 리눅스 script 명령어란 사용 중인 터미널 세션에 대한 기록을 파일로 저장하는 명령어입니다. script명령어는 사용자가 터미널 화면에서 작업한 명령어에 대한 기록들을 로그로 남기기 위하여 저장하거나 터미널 화면을 다른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리눅스 script 명령어 사용법 ✔ 리눅스 script 명령어 사용법 $ script [옵션] [저장할파일명] 리눅스 script 명령어에 저장할 파일명을 입력하면 "Script started, file [파일명]"이라는 문구가 출력이 되면서 이 순간부터 터미널에 행동하는 모든 것들이 지정한 파일명에 저장됩니다. script 명령어를 종료하고 싶다면 터미널에 exit를 입력하거나 ctrl+d를 입력하면 "Scr.. 2022. 8. 14.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법 및 옵션 총정리 -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법 및 옵션 총정리 - 리눅스 기본 명령어 ※ 목차 1. 리눅스 tee 명령어란?? 2.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법 3. 리눅스 tee 명령어 옵션 4. 리눅스 tee 명령어 옵션 사용예시 1. 리눅스 tee 명령어란??? 리눅스 명령어의 tee 명령어는 표준 입력에서 읽은 내용을 표준 출력에도 사용하면서 파일에 저장하는 두 가지를 동시에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을 리다이렉션을 사용하여 표준 입력으로 받아 파일로 저장하거나 동일한 파일 복사하는 등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은 많지만 tee를 사용해야 되는 이유는 따로 존재합니다. $ sudo echo "3.3.3.3 melon" >> hosts 일반 사용자 계정에서 sudo 명령을 이용하여 root의 권한으로 hosts 파일을 .. 2022. 7. 7. 리눅스 기본 명령어 cut 사용법 및 옵션 총정리 - 문자열 자르기 리눅스 기본 명령어 cut 사용법 및 옵션 총정리 - 문자열 자르기 ※ 목차 1. 리눅스 cut 명령어란?? 2. 리눅스 cut 명령어 사용법 3. 리눅스 cut 명령어 옵션 4. 리눅스 cut 명령어 옵션 사용 예제 1. 리눅스 cut 명령어란?? 리눅스(Linux) 운영체제에서 cut의 명령어는 파일의 각 줄에서 섹션을 제거하는 명령어입니다. 쉽게 말해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cut 명령어는 옵션을 이용하여 표준 입력을 받은 문자열을 잘라내거나 파일에 있는 각 줄의 라인을 잘라내어 새로운 문자열을 출력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파일에 cut 명령어 사용예시 표준입력으로 cut 명령어 사용 예시 2. 리눅스 cut 명령어 사용법 1) cut 명령어 기본 사용 cut [옵션] [파일] cut 명령어의 기본 사용.. 2022. 7. 2. [Linux] 리눅스 서버 기본 명령어 head 명령어 옵션 사용법 총정리 [Linux] 리눅스 서버 기본 명령어 head 명령어 옵션 사용법 총정리 ※ 목차 1. 리눅스 head 명령어란??? 2.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 3. 리눅스 head 명령어 옵션 4. 리눅스 head 명령어 옵션 사용법 1. 리눅스 head 명령어란??? 파일의 전체 내용 중 앞부분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 텍스트 파일로 된 파일의 전체 내용 중 앞부분을 출력해주며 binary로 된 파일은 출력은 되지만 알아볼 수 없는 문자로 출력해 주기 때문에 텍스트 파일로 된 파일 출력을 권장합니다. 주로 대용량의 로그 파일이나 줄 수가 많은 파일 또는 어떤 파일인지 확인하려고 할 때 사용합니다.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의 행수나 용량을 지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출력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2.. 2022. 4. 13. 리눅스 mkdir 옵션 리눅스 디렉토리 만들기 리눅스 기본 명령어 중 mkdir 명령어는 리눅스 디렉토리(폴더) 만드는 명령어입니다. mkdir 명령어가 무엇인지 mkdir 옵션에 대한 설명과 mkdir 명령어 옵션에 대한 실제 예시와 mkdir 명령어를 잘못 실행했을 때 오류 메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kdir 명령어란?? mkdir은 Make Directory의 줄임말로 리눅스에서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흔히 윈도우에서 폴더를 만든다는 개념이고 리눅스 디렉토리는 파일과 마찬가지로 디렉토리 명 앞에 . 을 붙여 디렉토리를 숨김 파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umask값을 수정을 하여 처음 생성한 디렉토리의 권한을 영구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umask 파일 및 디렉토리가 생성될 때 권한(퍼미션)이 결정되는 값입니.. 2022. 3.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