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기초4 리눅스 터미널 세션 타임아웃 설정 방법(자동 로그아웃) Linux Terminal session timeout 리눅스 OS는 다중 사용자(Multi User) 시스템으로 한 서버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버에서 작업 후 안전하게 로그아웃을 하는 반면에 아무런 작업도 하지 않은 상태로 서버에 접속해 있는 경우나 터미널 세션을 종료하지 않고 악의적인 목적으로 접속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리눅스 터미널 세션은 시간 설정을 하여 자동으로 로그아웃을 하는 것이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좋습니다. 터미널 timeout 개념 ✔ timeout이 설정된 서버에 로그인 리눅스 OS가 설치된 서버에 직접 접속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다른 컴퓨터에서 remote program을 이용해 리눅스 서버로 접속하게 됩니다. 대부분 보안상 직접 root.. 2022. 8. 19. 리눅스 루트 파티션 구성 디렉토리 종류와 의미 리눅스 루트 파티션 구성 디렉토리 종류와 의미 리눅스 트리구조 리눅스 트리구조란? 리눅스(Linux)와 같은 유닉스(Unix) 계열 및 기타 여러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트리구조는 모든 것을 파일로 표현하는 리눅스의 특성으로 디렉터리도 한 파일의 한 종류로서 최상위 디렉토리 루트를 기준으로 하위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주소들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수많은 파일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 루트 파티션의 구성 / (root) 디렉토리 리눅스 루트 디렉토리는 최상위 디렉토리이며 모든 디렉토리는 / (root)를 기준으로 생성됩니다. / (root)는 모든 디렉토리의 출발점이자 다른 파티션의 연결점입니다. /bin 디렉토리 리눅스 /bin 디렉토리는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 2022. 8. 11. 리눅스 파티션 기초 - 리눅스 파티션에 대한 이해 리눅스 파티션 기초 - 리눅스 파티션에 대한 이해 ※ 목차 1) 리눅스 파티션이란? 2) 리눅스 파티션 종류 3) 리눅스 파티션 보기 4) 리눅스 파일 시스템 만들기 리눅스 파티션이란? 리눅스 파티션(Linux Partition) 리눅스 파티션(partition)이란? 디스크 공간의 분할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기억 공간을 별도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 번 디스크가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뉘면 다른 카테고리의 디렉터리와 파일들은 다른 파티션에 저장되게 됩니다. 파티션을 하는 이유 리눅스 파티션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디스크의 공간을 나누고 각 공간 사용이 다른 공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파티션을 나누는 다른 이유는 서로 다른 공간에 서로 다른 OS를 설.. 2022. 8. 6. 리눅스 파일 소유권 허가권 - 리눅스 파일시스템 기초 리눅스 파일 소유권 허가권 - 리눅스 파일시스템 기초 ※ 목차 1) 리눅스 파일시스템 파일 유형 2) 리눅스 파일 소유자와 그룹 3) 리눅스 파일의 허가권 4) 리눅스 파일의 허가권을 지정하는 8진수 값 5) 리눅스 파일 허가권 8진수 예시 6) 리눅스 특수권한 chown 명령어, chmod 명령어 참고내용 리눅스(linux)의 파일이란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하며 정규파일(regular file), 디렉토리, 특수파일 등이 존재합니다. 정규파일(regular file)이란 텍스트 파일, 바이너리 파일을 의미하고 특수파일 장치 파일(device file), 파이프 파일 등을 의미합니다. 파일 및 디렉토리가 생성되면 소유자와 그룹을 부여받고 파일을 생성한 사람의 uid와 gid로 생성되게 됩니다. 위 사진은 .. 2022. 7. 3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