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77

리눅스 서버 네트워크 설정 방법과 네트워크 이중화 설정 리눅스 서버 네트워크 설정 방법과 네트워크 이중화 설정 ※ 목차 1.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파일 2.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3. 리눅스 핑 테스트(ping test) 4. 리눅스 서버 간 ssh 접속 5. 리눅스 서버 네트워크 이중화 설정 1.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파일 리눅스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설정 관련 파일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구성해야 될 파일은 아래와 같으며 4개의 파일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각 파일의 IP 주소는 랜덤으로 예를 작성한 것입니다. /etc/hosts /etc/resolv.conf /etc/sysconfig/network /etc/sysconfig/network-scripts/{인터페이스파일} /etc/hosts 리눅스의 h.. 2022. 6. 3.
윈도우10 파일 탐색기 설정 꿀팁 및 왼쪽 탐색기창 설정 윈도우10 파일 탐색기 설정 꿀팁 및 왼쪽 탐색기창 설정 옛날에 윈도우10 파일 탐색기를 사용하다 보면 실수로 클릭을 하거나 잘못건드려서 파일 탐색기의 설정이 변경된 적이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윈도우10 왼쪽 탐색기창이 없어짐, 윈도우 리본 메뉴가 없어짐, 윈도우 파일 탐색기 사진 파일 큰 미리보기 보는 법 이런 식으로 실수가 일어나거나 궁금한 점을 매번 일일이 검색하여 찾아서 해결을 했었습니다. 때문에 이 글에서는 대표적으로 윈도우10 파일탐색기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어떠한 기능들이 있는지와 사용하기 편리한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윈도우10 파일탐색기(File Explorer)란??? 윈도우 파일 탐색기는 Microsoft Windows 환경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 2022. 5. 26.
리눅스 vsftpd 설정하는 방법과 ftp 서버 만들기에서 파일업로드까지 리눅스 vsftpd 설정하는 방법과 ftp 서버 만들기에서 파일업로드까지 ※ 목차 1. 리눅스 vsftpd란? 2. 리눅스 vsftpd 패키지 설치 3. 리눅스 vsftpd 디렉토리 설명 4. 리눅스 vsftpd config 파일 설정 5. 리눅스 vsfpd 서비스 시작 6. ftp 프로그램으로 파일 업로드 1. 리눅스 vsftpd란? 리눅스 vsftpd는 Very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Daemon의 약자로 FTP의 보안을 강조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파일 전송이 주 목적인 FTP 서비스는 유닉스 또는 리눅스 계열에서 vsftpd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유닉스 또는 리눅스의 운영체제에서 사용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가진 계정이 존재해야 vsftpd를 이용할 수 .. 2022. 5. 25.
리눅스 외부 인터넷 없이 레포지토리 구성하기 - linux repository 리눅스 외부 인터넷 없이 레포지토리 구성하기 - linux repository 레포지토리를 구성하는 2가지 방법 리눅스 서버를 처음 구성하다 보면 아주 기본적인 패키지들만 설치가 되어있습니다. 원하는 명령어나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호 간에 호환되는 패키지들이 필요하거나 필수 패키지들을 설치해야 되는 조건이 생깁니다. 따라서 레포지토리는 패키지의 저장소라고 불리는데 원하는 명령어 및 패키지를 설치할 때 이 레포지토리 저장소에서 패키지를 불러와 설치를 합니다. 즉, 패키지를 설치할 때는 외부 인터넷이 되는 환경에서는 패키지를 설치할때 외부로 부터 패키지 소스를 받아 다운받거나 외부인터넷이 되지 않는 곳에서는 iso 이미지 파일을 장치로 마운트하여 저장소를 만든 후 패키지를 다운로드합니다 리눅.. 2022. 5. 20.
리눅스 서버에 USB 연결하여 사용하기 - 리눅스 마스터 한걸음 리눅스 서버에 USB 연결하여 사용하기 - 리눅스 마스터 한걸음 리눅스 usb와 윈도우 usb의 차이점 윈도우 서버는 usb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식이 되어 사용이 가능하지만 리눅스 소프트웨어에서는 사용을 하려면 따로 usb를 인식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대략적인 리눅스 소프트웨어에서 usb 연결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물리적 usb 연결 → usb 디렉토리 생성 후 마운트 작업 → 사용 리눅스 서버에 usb 연결 전 물리디스크 확인 리눅스 서버에 usb를 연결하기 전 정보를 미리 파악하는 이유 리눅스 소프트웨어에 익숙하지 않으면 실제 물리 디스크가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 보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usb를 연결 후에 usb가 인식된 디스크 정보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 usb를 물리적으.. 2022. 5. 19.
리눅스 - 사용자 프롬프트 환경 변경하기 .bashrc 파일 수정 리눅스 사용자 로그인 프롬프트 예쁘게 꾸미기 .bashrc 파일 수정 리눅스 사용자별 .bashrc 파일 이란?? 리눅스는 다중사용자 시스템으로 하나의 리눅스 환경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접속해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각 사용자마다 쉘 환경 등 각자 원하는 스타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아파트에 여러 가구가 들어가 산다고 가정하면 똑같은 아파트에 살지만 각자 집에 구조 및 환경이 다른 것처럼 사용자 홈에 있는 .bashrc파일을 수정하여 사용자 입맛에 맞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사용자 로그인 및 홈 디렉터리 리눅스 사용자 .bashrc 파일 리눅스 사용자 .bahsrc 파일 위치는 사용자가 리눅스에 로그인한 환경(사용자 홈 디렉터리)에 위치하게 됩니다. login.. 2022. 5. 17.
반응형